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천세종병원에서는 고객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해서 게시판을 통해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총 32건

  • 진료과 첫방문인데 진료 전에 채혈할 수 있나요? 금식 검사가 있나요?

    진료를 본 후 검사 처방을 받아야만 채혈이 가능합니다. 당일 시행 검사 중 금식 검사는 없습니다.

  • 첫방문 환자의 경우 외부 CD를 지참하는 경우 미리 CD를 외래 직원에게 제출해야 하나요?

    병원 방문이 처음이신 분들의 어려움을 도와드리기 위해 고객지원팀에 '처음오신 분' 신환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첫방문이신 환자 분은 창구에 가지고 오신 외부 CD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 재활의학과 입원을 원하는 경우 환자가 내원 못할 상황이면 보호자가 혼자 와도 되나요?

    환자에 대해 잘 아는 보호자가 소견서,영상자료 등을 지참하고 오시면 진료가 가능합니다. 단, 당일 입원은 어려우며 진료 후 입원 가능 일자를 안내해 드립니다.

  • 혈압이 150/90정도로 약간 높은 정도인데, 약을 쓰지 않고 운동이나 식이요법만을 해보고 기다려 보는 것은 어떤가요?

    식이요법, 운동, 체중조절을 통하여 혈압을 조절할 여지가 있으므로 적극 권장합니다. 하지만 운동이나 식이요법으로 조절하겠다는 의욕만 보이고, 실제 혈압은 그대로 경한 고혈압을 계속 갖고 계신 분들이 대부분 입니다. “고혈압이 경하니까 약을 당장 쓰지 않아도 되겠지…”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면서 치료를 미룬다면 장기적인 면에서는 손해입니다. 현재 경한 고혈압이더라고 최적 혈압인 120/80 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좋고, 운동, 체중조절로 혈압조절이 원활하지 않다면 약물치료를 시작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혈압은 측정할때마다 다르나요?

    혈압은 혈액이 혈관 속을 지나갈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하는데 매 순간 몸 상태가 같지 않은 것 처럼 매번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 혈압약이 부작용이 있으니까 되도록 안 먹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부작용은 환자분의 체질적인 문제와 많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부작용이 나타날지 여부를 미리 알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약을 끊으면 부작용의 증상은 모두 사라지게 되고, 같은 계통 약이라 할지라도 회사, 제품에 따라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약을 바꾸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작용이 다소 있다 할 지라도 약을 쓰게 되는 이유는 부작용 (失)에 비하여 얻는 효과 (得)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입니다.

  • 허혈성 심질환과 관상동맥 질환과 어떻게 다른가요?

    같습니다. 심장 근육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큰 동맥 혈관 세가지를 관상동맥 이라고 하며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심장 근육이 충분한 혈액 공급을 받을수 없게 되어 심장 근육  에 빈혈(허혈)이 생기는데 이를 "허혈성 질환" 또는 "관상동맥 질환" 이라고도 합니다. 의뢰서에는 Ischemic Heart Disease 또는 Coronary Disease 로 적혀 있습니다.

  • 폐에도 고혈압이 생기나요?

    폐성 고혈압이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들에 이상이 생겨 폐동맥의 혈압이 상승하는 질환으로, 평균 폐동맥압이 25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심장의 기능이나 판막의 이상으로 인하여 좌심실의 이완기말 압력이나 좌심방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폐정맥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결국 폐동맥의 압력도 상승하는 폐동맥 고혈압 발생하게 됩니다.

  • 쿠마딘을 어제 안 먹은 것 같아요. 아침에 라도 먹어야 하나요?

    쿠마딘 복용시간 6시간 내에 기억이 났다면 그 즉시 복용하시고, 그 이후에는 다음 복용시간에 맞추어 복용 하십시요.

  • 쿠마딘을 먹고 있는데 코피가 자주 납니다. 코피가 나도 괜찮습니까?

    쿠마딘 복용 환자는 다른 사람에 비해 출혈이 잘될 수 있습니다. 코피가 나면 깨끗한 솜으로 코를 막아 지혈을 시킵니다. 지혈이 안 될 경우 병원에 오셔서 채혈을 통해 피 묽기를 확인하시고 출혈의 원인을 확인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