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환자 및 고령자 치아 치료 '주의 요구'
등록일: 2023-05-30본문

▲ 인천세종병원 치과 황우진 과장
황우진 과장은 심뇌혈관질환 환자의 및
고령자의 치아 치료에 주의가 요구된다고
강조했습니다.
30일(화) 황 과장은
"심뇌혈관질환자와 고령자는 항혈전제나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무턱대고 잇몸을 절개하는 임플란트
같은 치과 치료를 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며
"그렇다고 치아 치료를 위해 자의적
판단으로 복용 중인 약을 중단하는 것도
위험한 만큼, 전문의와 충분한 상의를
거쳐 치료를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인천세종병원은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
부천세종병원과 궤를 같이한다"며
"심뇌혈관질환 환자 및 노인 치아
치료에서의 돌발 상황을 심뇌혈관
전문의와 치과 전문의 협진을 통해
사전에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황 과장은 그러면서
심뇌혈관질환 환자 및 고령자에게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시술법과 치근우식증 치료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시술법은
최적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미리 확인하고, 본 시술에 앞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모의 시술을
먼저 시행하는 게 특징입니다.
모의 시술에서 유도 장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본 시술에서
계획대로 환자의 뼛속에
최종적으로 임플란트 심는 과정을
거칩니다.
모의 시술을 통해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상하면서 혹여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에 미리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정확하고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후 회복 시간이
빠릅니다.
치근우식증은
고령자의 대표 치아 질환으로
노인에게서 치과 질환이 생겼을 때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만성통증과 치매를 초래할 수 있다"며
"치근우식증은 조기 치료가 핵심"이라고
말했습니다.
우식은 일반적으로 충치를 말하는데,
치아 뿌리 부위에 발생하는
충치가 치근우식인데,
가만히 있어도 치통이 심하고,
진통제를 먹어도 통증이 멈추지 않는
증상을 보이며, 어금니 혹은 치아
안쪽 구석에 생겼다면
거울로 자가 진단하기도 어렵습니다.
해당 질환은
젊은이보다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잇몸이 아래로 내려가는 경향을 보이고
결국 뿌리 표면이 노출되면서
충치에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치근우식증의 치료 방법은
간단한 충전치료(때우기)부터
신경치료 후 크라운 치료(씌우기),
발치 후 대체 치료까지 다양한데
우식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치료 부위가 커지고 복잡해지니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인천세종병원 치과 황우진 과장은
"건강한 성인은 잇솔질과 구강관리가
스스로 가능하지만, 신체 능력이 줄어든
심뇌혈관질환 환자 및 고령층은
정신적 · 육체적으로 위생관리 활동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며
"주변 분의 도움을 받아 꾸준히 잇솔질을
잘할 것을 당부드리며, 무엇보다
치과 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할 것을
권한다"고 말했습니다.
첨부파일
-
20230530111513_27821.png (841.6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4-15 15:43:08
- 이전글세종병원그룹, 환경 · 사회 · 지배구조(ESG) 경영 앞장 23.05.31
- 다음글세종병원그룹, 국내 최초 자동 심부전 진단 인공지능(AI) 프로그램 전격 도입 2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