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 ‘심부전과 살아가기’ 책 출간

등록일: 2022-08-23

본문

20220823_김경희과장 책 출간-100.jpg
▲(왼쪽) ‘심부전과 살아가기’ 책자 표지
(오른쪽) 인천세종병원 김경희심장이식센터장
 
인천세종병원(이사장 박진식)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심장내과 과장)이 19일(금)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기울여야 할 노력을 글로 풀어낸 책 ‘심부전과 살아가기’를 발간했습니다.
 
어떤 환자는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이야기하면
‘무조건 가슴을 여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게 아닐까?’
‘심장이식은 그 과정도 수술도,
이후 관리도 몹시 까다롭다는데
내 몸이 버텨줄까?’ 등의
근심과 걱정을 합니다.
또 어떤 환자들은 몸이 지속적으로
보내는 신호를 간과하기도 합니다.
정상 범주를 한참 벗어난 혈압,
가빠지는 호흡,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다가
나중에 내원하여 심장병의 종착역인
‘심부전’ 진단을 받기도 합니다.
또 어떤 케이스에서는 약물 복용,
생활습관 개선으로 상태가 좋아지면
다시 좋지 않은 습관으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은 진료 현장에서 과한 걱정과 절망,
무심과 방심 사이에서
병을 더하는 환자들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갖게 되었고,
아직은 낯선 ‘심부전’이라는 질환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환자들이
꾸준히 노력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심부전과 살아가기’를 출간했습니다.
 
저자는 심부전을 극복하려면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
원칙에 따른 치료 그리고 스스로 병을
이겨내려는 노력이 필수라고 말합니다. 즉,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셈입니다.
 
이 책은 진료 중 만난
다양한 환자들의 사례를 엮어
심부전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았고, 치료법이나 치료 전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그림과 사진 자료를 덧붙여 환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아울러 혈압 측정 방법과
심장 재활 운동 등의 일상 속 몸 관리법,
코로나19 백신이 심장에 미치는 영향까지 심부전 환자들이 알아 두면
좋을 정보를 빼곡히 담았습니다.
갑자기 심장이 멈춘 15세 소녀,
별 탈 없다고 여겼는데 출산 직후
심부전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산모,
자신도 몰랐던 선천성질환으로 쓰러진
건장한 남성, 업무 때문에 병원에
방문했다가 긴급하게 심장 수술을 받은
외국인 손님, 같은 유전질환을 타고났으나 건강 상태는 전혀 다른 형제자매들,
기적적으로 심장이식을 받은 환자와
기적적으로 심장이식 직전에 회복한 환자 등 다양한 환자들의 사연이 심부전의
원인 질환이나 상황에 따라 챕터별로
구분돼 있습니다.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
(심장내과 과장)은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난치병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이
개발되었고, 지속적으로 연구 중에 있다”며, “나날이 발전하는 의료기술 그리고 전문의가 전하는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꾸준히 노력해 나간다면
‘심부전’이라는 질병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이 책을 통해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도 용기를 얻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의,
내과 전공의,
순환기 내과 전임의를 거쳤습니다.
현재 인천세종병원 심장이식센터장,
심장내과 진료과장을 맡아
심부전·심이식·희귀 난치 질환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연구와 의료 기술 발전을 위해
미국 로체스터 메이요클리닉에서
연수하고 대한심부전학회 학술 간사,
한국심초음파학회 교육위원,
대한고혈압학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제심폐이식학회에서 아시아
유일 프로그램 선정위원을 맡고 있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