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건강정보

[류마티스내과] 아침에 허리가 뻣뻣해지고, 둔부 통증이 있다면? '강직척추염' 의심

등록일: 2019-07-15

본문


강직척추염은 천장관절을 비롯한 척추 및 부착부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질환입니다. 보통 강직척추염은​ 10~20대에 증상이 시작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2~3배 높게 나타납니다.

발병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주로 유전적 소인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장내세균이나 기계적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으로 혈액 내 여러 염증성 물질이 분비되면서 질환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때 처음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드물게 40세 이상에게서 생기기도 합니다.
SE-253a3009-1d36-472a-bd72-51fe31bd8231[1].jpg

강직척추염 증상

요추 아래쪽이나 둔부에서 느껴지는 둔통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허리가 뻣뻣함
둔부에 번갈아가며 통증 발생
아침에 심했던 증상이 활동하면서 점점 호전
증상이 심할 때는 잠에서 깰 정도로 뻣뻣한 허리 통증 동반

강직척추염 증상이 지속되면 이후 점차 척추 운동 능력이 소실되어 허리나 목의 움직임에 제한이 올 수 있으니 가급적 빨리 병원을 찾아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강직척추염은 염증으로 인해 요통뿐만 아니라 안구에 포도막염이 잘 동반될 수 있고, 척추염보다 먼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재발하는 포도막염이 있다면 강직척추염과 같은 전신 염증성 질환이 동반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아킬레스건염과 같은 부착부염이나 한쪽 무릎이나 발목 등이 붓고, 아픈 관절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소시지처럼 퉁퉁 붓고 아픈 손발가락염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SE-100c8763-232f-4808-85fd-9a2f1df087b8[1].jpg
진단은 한 가지 검사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염증요통 증상과 염증 반응 검사, 방사선 검사, 유전자 검사, 관절 외 증상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합니다. 강직척추염을 진단받았다면 우선 약물치료로 염증을 가라앉히고, 운동을 병행하여 운동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로도 염증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으면 주사치료를 시행하는데, 주사치료로 증상을 크게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1145801-변환됨[1].jpg

치료 목표는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증상이 호전된 상태 즉, 염증이 없는 상태인 관해 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환자들의 통증, 강직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와 충분한 운동 범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만성질환이므로 질환의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며, 금연, 규칙적인 운동, 재활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일상생활 관리의 일환으로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을 자주 하여 척추, 어깨, 고관절의 충분한 관절 가동 운동을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엎드리는 자세를 하루에 1회 이상 최소 5~10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의자는 소파보다 단단한 좌석 및 머리까지 받칠 수 있는 등 받침이 있는 것이 좋고, 침대는 단단한 매트리스 사용하고, 베개는 가능하면 낮은 것이 좋습니다.


인천세종병원_국문_배경투명.png

※도움 글 : 인천세종병원 류마티스내과 권현미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