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건강정보

[영양팀] 심부전 환자식단,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등록일: 2018-08-24

본문


심부전 환자의 영양 불량은 증상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실제로 환자들의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렇듯 심부전 환자에게서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식단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건강한 체중 유지를 위한 건강식 식사

건강한 식사란 하루 3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며, 특히 단백질을 포함한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식사를 말합니다. 심부전 환자는 근육 감소를 동반한 영양불량 가능성이 높으며, 심할 경우 심장 근육의 소실로 심부전이 악화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단순 당질, 지방 섭취 조절

설탕이나 꿀 등 단순당은 농축된 열량원으로 소화 흡수가 빨라 혈당 상승을 촉진시키며, 필요 이상의 탄수화물 섭취는 중성지방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또한 고지방, 고열량 식품은 체내에서 중성지방으로 전환됩니다. 혈중의 높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은 혈관을 빨리 병들게 하기 때문에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는 줄이고, 적당한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목 없음-8.jpg

■염분 섭취 제한

하루 소금 권장량은 5g(소금1g=1/3티스푼) 입니다. 보통 하루에 간을 하지 않은 자연식품으로 소금 2g에 해당하는 나트륨을 섭취하기 때문에 추가로 사용 가능한 소금의 양은 3g 입니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혈압 조절과 부종 완화에 도움을 주고, 심장 및 신장의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염분이 높은 국, 찌개류, 김치, 염장식품(젓갈류 등) 대신 ! 
 => 건더기 위주 또는 숭늉, 겉절이, 물김치, 샐러드 등의 음식으로 바꿔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샐러리 등 음식 자체의 향이 강한 식품을 사용하거나 새콤달콤한 맛으로 섭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충분한 섬유소 섭취

야채, 과일, 잡곡, 해조류 등에 칼륨과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식이섬유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식물성 식이섬유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수축기혈압이 5mmHg 떨어진다는 연구 겨로가가 있습니다.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알코올 섭취 조절

알코올 성분은 혈액 순환 및 심장 박동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며, 적정량 이상의 알코올 섭취는 혈액 내 중성지방을 증가시키고 체중을 증가시킵니다.


■민간요법 주의

민간요법은 심장 관련 약제의 효능을 방해할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은 특정 의약품과 함께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서울특별시 식품안전정보 FSL, 건강기능식품 알수록 건강해진다, 질병관리본부 고혈압 기본 영양이론, 고혈압 교육 모듈


인천세종병원_국문_배경투명.png